시골살이 현실 45편 : 너무 많은 시간을 나에게 쓰게 된 날들
시골살이, 나 자신과 마주할 수밖에 없는 환경시골살이는 매일매일이 나와 대화할 수 밖에 없는 환경이다. 누가 물어보는 사람도, 감시하는 사람도 없다. 오늘 무엇을 할지, 어떻게 살지를 결정하는 건 오직 나 혼자다. 도시에서는 끊임없이 누군가가 내 시간을 빼앗아갔다. 상사의 지시, 친구의 약속, 가족의 요청, 심지어 거리에서 흘러나오는 정보들까지도 내 하루를 점령했다. 하지만 시골살이 안에서는 그 모든 외부 자극이 줄어든다. 그 결과 남는 건 고요함이고, 그 고요함은 나를 나 자신에게 끌고 간다. 자연스럽게 생각은 내면을 향하고, 행동은 혼잣말과 판단으로 연결된다. 시골살이는 내가 누구인지 스스로에게 물어보게 만들었고, 그 질문에 하루하루 시간을 들여야만 했다. 그렇게 나는 시골살이라는 삶 안에서, 나를 ..
2025. 7. 28.
시골살이 현실 44편 : 버텨낸 시간이 쌓여 나를 만든다
시골살이의 첫 번째 조건, 버티는 힘시골살이를 처음 시작했을 땐, 낭만과 현실 사이의 간극을 쉽게 예상하지 못했다. 텃밭을 가꾸고, 아침에 일찍 일어나 산책하고, 계절에 맞춰 먹거리를 준비하는 삶이 기대됐다. 그러나 실제 시골살이는 낭만보다는 버티기의 연속이었다. 전기도 끊기고, 수도도 얼고, 농작물은 예상과 다르게 자라지 않았다. 시골살이는 그런 변수를 감내하며 살아야 하는 일이었다. 처음 몇 달 동안은 매일이 시험 같았다. 익숙지 않은 생활 방식, 낯선 이웃, 불규칙한 수입, 그리고 외로움. 그 모든 것을 버티지 않으면 시골살이는 지속되지 않았다. 도시에서는 뭔가 힘들면 잠깐 쉬거나 빠르게 대처할 수 있는 선택지가 많았다. 하지만 시골살이는 도망칠 곳이 없었다. 그래서 버티는 것이 기본이었고, 버티다..
2025. 7. 25.
시골살이 현실 43편 : 도시에 두고 온 것들 - 관계, 꿈, 기회, 그리고 가능성
시골살이를 시작하며 도시에 남겨놓고 온 것들시골살이를 시작할 때, 나는 최대한 짐을 줄여야 했다. 이사 트럭에 다 실을 수 없는 것들, 남겨야 할 가구, 옷, 책들, 일상의 무게와 흔적을 하나씩 정리해 가며 나는 내 삶의 절반을 도시에 두고 나왔다. 물리적인 짐만 남겨진 게 아니었다. 도시에선 분명 나의 일부였던 것들이 시골살이라는 새로운 일상 속에서 조금씩 희미해지고 있었다. 처음엔 ‘정리했다’고 믿었고, 시골살이의 시작에만 집중했다. 그런데 시간이 흐르면서 그 도시의 잔상들이 계속 떠올랐다. 사람들과의 관계, 내가 그리던 꿈, 도시에서 마주쳤던 크고 작은 기회들, 그리고 그 모든 가능성들까지. 시골살이는 나를 새로운 삶으로 이끌었지만, 동시에 도시에서 포기하고 남겨둔 것들을 계속해서 상기시키는 일상이..
2025. 7. 23.